본문 바로가기

미국 생활 생존기

Model3 구매 합리화

우선 M3R를 오더 해놓고 기다리고 있지만 와이프의 계속되는 첼린지...

이렇게 비싼 차가 필요한가?

Adaptive Cruise Control이 되는 차면 되는거 아닌가?

주유소 가기 귀찮으니까 사는거 아닌가?

 

그래서 준비한 M3R vs Camry XLE hybrid 비교!

family sedan으로는 어코드, K5, 쏘나타, 캠리 등등 많지만 대표적인 예로 캠리를 선택.

기름값 생각하면 하이브리드를 생각할 거같고 하이브리드는 캠리가 날 듯하여 캠리 하이브리드를 선택.

XLE를 선택한 이유는 별거 없고 blind spot monitoring정도는 있었으면 해서… 

 

유투브를 보면 계산한 내용들이 있지만 내 상황에 맞게 계산해봤다.

 

표1. 총 가격 비교 Model3 RWD vs Camry XLE hybrid

 

M3R 같은 경우는 오더를 해서 자세하게 얼마가 드는지 알 수 있는데 캠리같은 경우는 알 수가 없어서 MSRP를 가져오고 잡다한 fee들은 그냥 M3R이랑 같다 가정하고 계산.

요즘 딜러 Mark-up이 심하게 붙는 경우가 많은데 얼마인지 예상이 안되서 그냥 0로 잡고 계산.

 

계산한 바에 의하면 차 가격 자체는 M3R이 12k 정도 더 비싼 것을 알 수 있다. 주정부 $7500 크레딧이 없기때문에 확실히 비싸긴 비싸다...

 

이제부터 좀 tricky한 부분... 가정이 좀 많이 들어가지만... 어짜피 예상이니 ㅋ

1. 5년 탄다는 가정

2. 효율은 M3R은 132 mpge, Camry XLE Hybrid는 46 mpg

   *MPGe는 33.7kWh의 전기로 갈 수 있는 mile.

3. 1년에 15k mile 탄다.

4. 전기는 $0.14/kWh (회사에서 충전시)로 계산

5. Gas는 요즘 $6도 넘고 하지만 언젠간 다시 내려갈거로 생각하고 한 중간치인 $5로 계산

6. Camry 같은 경우 Insurance와 Maintenance의 경우 KBB와 Edmunds의 평균값 사용

7. M3 보험료는 30대와 40대 Good driver의 평균값으로 계산

8. State Fees는 아래의 3가지만 계산. (license fee계산은 초기 value로 5년치 계산에 사용)
Registration: $60
Vehicle license fee: 0.65% of value
Smog Transfer fee: $8

9. M3의 경우 요즘 Depreciation이 거의 없는 상황이라 (현재 3년 동안 10% 정도?)... 그냥 5년 20%로 잡음. Gas차의 경우 Depreciation이 더 심해질 수도 있겠지만 hybrid라 그냥 현재 예상되는 depreciation을 KBB와 Edmunds의 평균값으로 이용.

10. 이자는 뺌. 캐쉬로 최대한 낼 예정이라...

확실히 초기 비용은 M3가 $12k 이상 비싸지만 5년동안을 놓고 보면 많이 줄어듬을 볼 수 있다.

보험료는 조금 비싸긴 하지만 기름값과 정비비에서 많이 따라잡아서 depreciation을 뺀 비용은 7k불 정도 차이.

더 오래탄다면 이 차이는 더 줄어들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배터리가 문제 없다는 큰 가정...

이제 depreciation을 계산에 넣게 되면 M3R과 Camry XLE Hybrd의 5년 총 ownership cost 차이는 $560.

 

Camry 살때 있을 수 있는 mark-up과 다른 fee들을 계산에 넣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 별 차이 없을 것 같다는게 결론.

 

솔직히 5년 이상 탈건데... 이정도면 캠리 말고 M3R 사도 되는거 아냐?